TAEHWA RIVER ECO ART FESTIVAL 2015
2015.6.12 – 2015.6.21
TEAF 9th_with ART PLACE
Curated by ARTPLACE
ART PLACE Scope : General planning, Interview with artists, production, promotion, artist collaborations, publishings, seminar organizations, corporate art marketing etc.
Beyond Walled Enclosure
Taehwa River Eco Art Festival(TEAF 2015) celebrates 9th year of merging qualities of contemporary art and the city at Taehwa River Grand Park, the most symbolic site in Ulsan. In this art festival 30 artists from 6 countries including Korea, Germany, Netherlands, France, Japan and Thailand participated. Following this year's theme <Beyond Walled Enclosure>, we hope diverse artworks in Taehwa River Eco Art Festival(TEAF 2015) will move beyond the closed space and interact with visitors in the nature.
Curatorial essay
Open space of plural paths and perspectives
Our ‘appreciation’ of art had most often been done behind walled enclosures. We felt a sense of security, an assurance within the white walls, that we had been provided the best possible space to appreciate art, removed of any external light or sounds. Brian O'Doherty called this white space within art galleries and museums, ‘White Cube.’
Modern art sought to render itself pure, and through it guarantee itself independence and completeness, free of any representation or summoning of visions. Once the canvases were removed of concrete subjects, white walls and specific spaces between the frames became indispensable to avoid interference and intrusion. Abstract art, the best known visual language of modernism, required a white cube. White cube in return encouraged modern art to pursue the abstract, urging a separation with reality. Occupants of white cube are divested of the sense of space and time. Within the neutral and universal space, the audience is divorced from the spaces of their daily life, removed from the specificity and concreteness of the mundane.
In that sense, the contemporary art of our days can be described and explained as a struggle to depart from the white cube's sphere of influence (and the gravity field of modernist art). From decommissioned factories to abandoned housing and deserted school buildings, the transition in exhibitions spaces also signifies the changing of the artwork exhibited within those spaces. At the forefront of that transition of exhibition spaces is the 'environment,' which refused to be defined as a specific space.
Artwork installed in the outdoor environment often means that the curator relinquishes many aspects of the exhibition. At times, the audience approaches art from a direction that neither the artist nor the curator anticipated or planned. Furthermore, the installation is exposed on all sides. The artwork-space relationship becomes ambiguous, and the environment may even interfere with the art itself. Directly exposed under natural light, the works cannot avoid the effects of time. This year's Taehwa River Eco Art Festival took up those challenges by interpreting them as potential. The unexpected direction of approach and appreciation by the audience were considered a different means to share and participate. The physical space of an art gallery is imminent with the authority of the established art institutions, but exhibiting beyond those walls in 'open spaces' demands change from also the works.
Site-specific works at the Taehwa River Eco Art Festival this year actively interact with the environment, drawing attention to the semantics and function of space. <Secret Garden> is Yumiko Ono's installation which features vertical white strings in a bamboo forest. <Cloud Seat> by LEE EunSun presents gym balls gathered and installed by a tree stump. <Waterfall> by Jedsada Tangtrakulwong is a bleachers-like structure of steel and wood installed on a brooklet that leads the audience to observe nature through a gaze which breaks away from existing perspectives. Marc Oosting's <The Surrounding is Demanding> pres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 and image, while KIM WonJung's <A Journey of Lettuce Project: Endless Voyage> is a product of daily horticulture. The artist waters the rowboat. The Chinese characters read “sang-chu” in Sino-Korean pronunciation, which is usually the word for “lettuce,” but in this case, they mean “thoughts-plucked out,” to signify the process of emptying oneself. DO SuJin’s <Floating Room> changes location depending on the flow rate of the brooklet. PARK ChungKi’s <Melancholia_Window> is an installation of a large white window frame with a curtain. OH YouKyeong’s <Variable Ties> presents a proliferating colony of beach balls growing on a tree. LEE KangSo's <Trilogy View II> frames the landscape beyond its massive structure. LEE MyungHo’s <Taehwa River Tree> presents actual trees by installing canvas behind them. LEE YeonSook's <Mother and her Mother> recombines the artist's memory of her tree and home. All these works bring aspects of the exhibition environment as part of the artwork to create scenes not found anywhere else.
<Observer> by Frauke Wilken reflects contemporary society through soft and organic looking sculptures. KIM SangGyun's <Path 2013-07> explores forms in urban spaces and architectures. KIM JongKu’s <Steel Powder painting> uses metal-shavings to write emotive poetic expressions that convey the Eastern, spiritual state of mind. MUN ByoungTak's <Gulp> presents animals in nature as metallic recreations. PARK EunSeang's <Mountain>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metallic material and presents the passing of time through its corrosion. PARK ChanGirl’s <Sliced Image ‘DAVID’> reinterprets a classical sculpture through stacking thin layers of metal. Vakki’s <Island, When it Flows> boasts the artist's unique patterns. SONG JinSu's <Bus> traced in the air using metallic wiring. YANG SooIn made <Heavenly Skies> out of common industrial materials. IM JiBin created <Space in LOVE> in the form of an ad balloon that reminds viewers to think of the meaning of love. HA Won's <Waterfall> is made of mirror-sheets and LED, show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Each artist chose a particular material, from cloth, cement, steel, to LED, reflecting their thorough observation of the materials and diverse interpretations of it.
Other works are also featured this festival, presenting diverse themes in contemporary art today. Park Zinoo satires the desire and consumer culture of the modern day in <Yoku Yoku Paradise>. <Behind Ceremonies> is Nicolas Carrier's visual experience of Korea's monuments and landmarks. <Vertical Limit> is PARK CheonWook's exploration into the gap between human visual perception and the actual. <Allusion> by BAE HyungKyung is a loosely composed group portrait that leads the audience into thoughts of life and death. <Eternal Rest> by LEE BongWook exposes the essence of an object through recursion of simple form. <A Long Journey-Camels> by CHEUNG WookJang is a metaphor on humanity and life, expressed in the form of desert animals. <Big One> by Han JinSu was created based on childhood imaginations and memories.
Installation art is heavily dependent on the times, space of the installation, as well as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position of the viewer. Harmonization, or the de-contextualization of space is at the essence of installation art. Encountering art installed into the natural environment, the viewer may pass by it unaware, or find the encounter uncanny. That is what images present: a familiarly unfamiliar experience. It evokes spatial awareness and perception. Installed works will not be offering modernity nor convenience, but compel the viewer with methods of perception, rediscovery of space, and interaction with strangers. In an 'open space' of plural paths and perspectives, Taehwa River Eco Art Festival is a place one can imagine an ever-widening spectrum of lateral thought.
JOUN SooYoun Chief Curator of The 9th TEAF
태화강국제설치미술제 2015
2015.6.12 – 2015.6.21
9회차 공동 전시 기획_ART PLACE
태화강국제설치미술제(TEAF)는 현대미술과 도시 특성을 융합한 국제설치미술 축제로 한국문화 속 현대미술 작가와 관람객과의 소통을 위해 기획되었다. 국내외 유명, 중진, 신진작가들의 입체, 설치, 미디어아트, 대지미술, 퍼포먼스 등의 다양한 장르와 대중매체를 자연 환경 속에 공존시켜 작품과 관람객이 조우하는 공간을 선보이는 국내 유일무이한 국제설치미술제이다. 행사준비 기간 및 전시기간동안 총괄 기획을 맡았다.
닫힌 공간 너머
9회째를 맞은 태화강국제설치미술제(TEAF2015)는 현대미술과 도시의 특성을 융합한 국제설치미술 축제로 울산의 가장 상징적인 장소인 태화강 대공원에서 개최됩니다. 이번 미술제에서는 한국을 포함하여 독일, 네덜란드, 프랑스, 일본, 태국 등 6개국 30명의 작가들이 참여합니다. 올해의 미술제 주제인 <닫힌 공간 너머>를 통해, 태화강국제설치미술제(TEAF2015)는 다양성이 공존하는 작품들이 닫혀진 공간을 넘어 자연 환경 속에서 관람객들과 조우하고 소통하리라 기대합니다.
다양한 동선과 관점이 공존하는 ‘열린 공간’
우리가 작품을 ‘감상’하고자 할 때, 이미 대부분의 작품은 닫힌 공간 안에 놓여 있었다. 외부의 빛도, 소리도 차단된 백색의 전시장 안에서, 우리는 작품을 가장 효과적으로 감상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받았다고 생각했다. 브라이언 오도허티(Brian O’ Doherty)는 이러한 미술관의 백색 공간을 ‘화이트 큐브’(White Cube)라고 불렀다.
이미지의 순수성을 추구했던 모더니즘 미술은 그 어떤 것도 재현하거나 환영을 불러일으키지 않고 그 자체로 완전한 이미지이길 바랐다. 구체적인 대상이 사라진 캔버스는 서로 간섭하거나 개입하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과 백색 벽면이 필수 불가결했을 것이다. 모더니즘 미술을 대표하는 추상미술이 화이트 큐브의 공간을 요구했다면, 화이트 큐브는 모더니즘 미술이 추상으로 나아가길, 현실과 분리되길 종용했다. 시간과 공간에 대한 감각을 상실케하는 화이트 큐브는 일상의 공간으로부터 관람자를 분리시키고 삶의 구체성을 제거한 보편적이고 중립적인 공간이었다.
동시대의 현대미술은 그러한 화이트 큐브의 힘으로부터(결국은 모더니즘 미술의 힘으로부터) 벗어나고자 부단히 노력한 과정이 아닐까 한다. 공장에서부터 버려진 집, 폐교에 이르기까지 전시의 공간이 변화한다는 것은 사실 그 안에 놓이는 작품까지 함께 변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 최전선에는 특정 공간으로 규정될 수 없는 ‘환경’ 그 자체에 작품을 전시하는 방식이 있다.
야외 환경에 놓이는 작품은 작가와 기획자에게 많은 것을 포기하게 만든다. 관람객들은 작가와 기획자가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도 작품에 접근한다. 심지어 작품의 앞과 뒤, 위와 아래가 모두 노출된다. 공간과 작품의 관계는 모호해지고 주변 환경은 오히려 작품에 개입하기까지 한다. 작품은 자연광에 직접적으로 노출되고 시간의 변화를 피할 수 없다. 이번 태화강국제설치미술제는 이러한 조건들을 하나의 가능성으로 해석했다.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부터의 접근과 관람 방식은 또 다른 참여와 공유의 방법으로 보고자 했다. ‘미술관’이라는 물리적인 공간, 미술 제도권이 만들어지는 권력의 공간 너머의 ‘열린 공간’에서 전시가 이뤄진다는 것은 비단 공간의 변화가 아닌 놓이는 작품에 있어서도 변화를 요구한다.
올해 태화강국제설치미술제에서 환경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장소 특정적’인 작품들은 공간의 역할과 의미를 환기시켰다. 대나무숲에 흰 줄을 설치한 유미코 오노(Yumiko Ono)의 <Secret Garden>, 나무 아래 짐볼을 설치한 이은선의 <Cloud Seat>, 실개천에 구조물을 세운 젯사다 땅뜨라쿤웡(Jedsada Tangtrakulwong)의 <Waterfall>은 관습적으로 바라보는 자연을 새로운 시각으로 관찰하도록 유도한다.
글과 이미지의 관계를 보여주는 마크 오스팅(Marc Oosting)의 <The Surrounding is Demanding>, 배 위에 심은 상추에 매일 물을 주는 상추 프로젝트를 통해 생각 ‘상(想)에 뽑을 ‘추(抽)’를 사용하여 ‘생각을 뽑다’라는 비움의 과정을 보여준 김원정의 <A Journey of 상추 프로젝트: 끝없는 항해>, 실개천의 유속에 따라 작품의 위치가 바뀌는 도수진의 <부유하는 방>, 거대한 창문과 커튼을 설치한 박정기의 <멜랑콜리아_창>, 나무에 무한으로 증식하는 비치볼을 보여준 오유경의 <가변적 유대>, 육중한 구조물 너머의 풍경을 담은 이강소의 <풍경 셋 ll>, 실제 나무 뒤에 캔버스를 설치한 이명호의 <태화강 나무>, 작가 개인의 나무와 집에 대한 기억을 재조합한 이연숙의 <Mother and her Mother> 등은 전시장 환경을 작품의 요소로 활용하여 다른 장소에서 감상할 수 없는 풍경을 만들어 냈다.
부드럽고 유기적인 형태의 조형물을 통해 현대사회의 인간상을 반영한 프롸우케 빌켄(Frauke Wilken)의 <Observer>, 도시공간과 건축의 형태를 탐구하는 김상균의 <길 2013-07>, 쇳가루를 이용한 감성적인 시어로 동양적, 정신적인 면을 표현하는 김종구의 <쇳가루 산수화>, 자연 속의 동물 형상을 금속 소재로 보여준 문병탁의 <마시다>, 철의 부식과정을 통해 소재의 특성과 시간의 흐름을 드러내는 박은생의 <산>, 금속을 덩어리가 아닌 얇게 잘려진 결의 형태로 고전적인 조각의 형식을 환기시키는 박찬걸의 <Sliced image‘DAVID’>, 작가 특유의 패턴을 적용한 빠키의 <섬 그리고 흐르는 순간>, 금속적인 소재를 사용하여 선으로 공간에 드로잉을 한 송진수의 <버스>, 흔한 공업용 소재를 가지고 공간을 만들어낸 양수인의 <하늘하늘>, 애드벌룬 형태로 사랑의 의미를 환기시키는 임지빈의 <Space in LOVE>, 그리고 LED와 함께 주변 환경을 반영하는 미러시트로 자연을 재현한 하원의 <폭포> 등은 천, 시멘트, 철, LED 등 작가마다 소재에 대한 깊은 관찰력과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 외에도 현대인의 욕망과 소비문화를 풍자하는 박진우의 <요쿠요쿠 파라다이스>, 작가의 눈에 비친 한국의 기념물과 상징물을 기록한 니콜라 캐리어의 <Behind Ceremonies>, 실제와 인간의 시각 체계의 간극에 대해 탐구하는 박천욱의 <Vertical Limit>, 인간 군상을 통해 삶과 죽음에 대한 성찰을 유도하는 배형경의 <암시>, 단순한 형태의 반복 속에 사물의 본질을 드러내는 이봉욱의 <무한의 쉼>, 동물의 형상을 통해 인간과 삶의 의미를 은유적으로 표현한 정욱장의 <A Long Journey-Camels>, 유년시절의 상상력과 기억을 바탕으로 가상의 동물을 만들어낸 한진수의 <Big One> 등, 동시대 현대미술에서 드러나는 다양한 주제의식을 볼 수 있다.
설치미술은 작품이 놓이는 시대, 공간, 그리고 관람자의 심리적/신체적 위치에 따라 각기 다르게 설정된다. 공간과의 조화 혹은 공간의 탈 맥락화는 설치미술의 핵심이다. 자연환경 속에서 만나는 작품은 모르고 스쳐 지나가거나 낯설거나 경이롭다. 이미지란 결국 친근하면서도 생경한 경험을 안겨주는 것이다. 공간 감각과 지각을 환기시키는 것이다. 설치된 작품들은 현대성과 편리성이 아닌 보는 방식을 제시하고, 공간을 다르게 인식 시키고, 낯선 이들과 소통하길 바랐다. 다양한 동선과 관점이 공존하는 ‘열린 공간’에서 태화강국제설치미술제는 수평적인 사고의 스펙트럼이 확산되길 상상한다.
전수연 제9회 태화강국제설치미술제 수석큐레이터
참여작가
프롸우케 윌켄 Frauke Wilken(독일), 마크 오스팅Marc Oosting(네덜란드), 니콜라 캐리어Nicolas Carrier(프랑스), 젯사다 땅뜨라쿤웡Jedsada Tangtrakulwong(태국), 유미코 오노Yumiko Ono(일본), 김상균, 김원정, 김종구, 도수진, 문병탁, 박은생, 박정기, 박진우, 박찬걸, 박천욱, 배형경, 빠키, 송진수, 양수인, 오유경, 이강소, 이명호, 이봉욱, 이연숙, 이은선, 임지빈, 정욱장, 차진엽, 하원, 한진수